신용등급기준(1~10등급)별 신용상태(우수,양호,보통,열위,위험), 신용평가요소(상환이력,부채수준,거래,형태 등)
신용등급기준(1~10등급)별 신용상태(우수,양호,보통,열위,위험)등급을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신용등급의 구분은 1등급~10등급 그리고 0등급입니다. 우수등급은 [1등급, 2등급, 3등급]이며, 양호등급은 [4등급, 5등급], 보통등급은 [6등급, 7등급], 열위등급은 [8등급, 9등급], 위험등급은 [10등급, 0등급]입니다. 신용등급이 중요한 이유는 신용등급에 따라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냐 없느냐가 결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신용 상태 |
신용등급 |
신용등급에 따른 정의 |
우수 |
1등급 |
신용능력 우수자로 환경변화 적정대처 가능 |
2등급 | ||
3등급 | ||
양호 |
4등급 |
적정수준의 신용상태로 경제상황 등에 따라 신용안정성 저하 가능 |
5등급 | ||
보통 |
6등급 |
신용능력 보통수준으로 환경악화시 신용안정성 저하 우려 |
7등급 | ||
열위 |
8등급 |
과거 단기연체정보, 채무불이행정보 등재 경험자로 신용능력이 매우 낮음 |
9등급 | ||
위험 |
10등급 |
국세체납 공공기록정보 등재 및 단기연체정보 과다한 경우 |
0등급 |
채무불이행정보 등재자 및 신용등급산정 보류자(고령자, 신용개설정보 미미한자, 불량해제정보보유자 등) |
제 1금융권대출이나 저축은행 등의 일반적인 대출은 대부분 6등급 이상까지 별 무리없이 받을 수가 있지만 7등급이하로 떨어지면 대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대출을 받는다 하더라도 고금리 신용대출이용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핸드폰요금, 공과금 등 소액연체라도 결코 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 신용평가 요소 세부내용 및 활용비중
신용평가 요소 |
신용평가 요소 세부내용 |
활용비중 |
계 |
100.00% |
|
상환이력정보 |
현재 연체 보유 여부 및 과거 채무 상환 이력 |
40.30% |
현재부채수준 |
채무 부담 정보 (대출 및 보증 채무 등) |
23.00% |
신용거래기간 |
신용거래 거래 기간 (최초/최근 개설로부터 기간) |
10.90% |
신용형태정보 |
신용거래종류, 신용거래형태 (상품별 건수, 활용비중) |
25.80% |
신용조회정보 |
신규 신용거래를 위한 신용 활동 정보 (조회건수 등) |
0.00% |
● 개인신용등급 평가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