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경찰관,소방관,검사,교사),지방직 (연도별)남,여비율
요즘 학교, 공무원, 공공기관 할 것없이 여성의 신입사원 비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공무원들 중에 5급이상 고위공무원이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요즘은 고위공직자의 여성비율이 많고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도 승진시에 일정비율 여성할당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기술관련)의 경우도 20여년 전에는 여성의 비율이 5%미만이었으나 현재는 30%에 이르고 있습니다. 여성의 사회참여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국가(일반직)공무원 여성 비율
국가공무원(지자체 제외) 18년 기준 총 70여만명에서 여성의 비율이 33.8만여명으로 50.6%입니다. 남성보다 많습니다. 검사, 경찰관, 소방관, 교육공무원, 군인 등을 제외한 일반직공무원의 경우 여성의 비율은 약 36%로 남성보다 낮습니다.
국가(특정직)공무원 여성 비율
(경찰, 소방, 교육 등)특정직의 경우에는 여성의 비율이 55.4%로 여성이 비율이 더 높습니다. 세부항목별로 살펴보면 외무고시 등의 출신으로 외무관련 직의 여성비율이 약 36%, 경찰의 경우 11%, 소방공무원 5%, 검사 30%입니다. 여성검사의 비율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교육공무원이란 교사와 교직원을 총괄합니다. 공무원 중에 가장 여성의 비율이 높은 직종입니다. 71.4%가 여성입니다.
<표>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남성, 여성 비율
연도별 행벙부 국가공무원 여성의 비율
아래의 표는 2014년~18년까지의 여성의 공무원 비율입니다. 급격하게 상승하지는 않지만 완만하게 계속해서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14년도 여성비율 49%에서 18년기준 50.5%로 여성이 추월하고 있습니다.
<차트>연도별 행정부 국가공무원 여성의 비율
공무원, 공공기관 취업준비
대학 3,4학년부터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입사를 위해서 준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공무원의 경우 시험은 9급, 7급, 5급(행정고시)으로 구분이 되며, 대학졸업시 대부분 9급 또는 7급시험에 응시를 합니다. 평균적으로 수년정도 준비를 해야 공무원이나 공공기관에 입사를 할 수가 있습니다. 합격만 할 수 있으면 60세까지 정년이 보장이 되며, 정년 후에는 공무원연금이나 국민연금을 수급할 수 있습니다.
(참조 : 2020년초,중,고등학교 교직원 기본급은 얼마?)
(참조 : 공무원연금 33년 근무시 퇴직연금은 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