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펀드, 사모펀드의 차이(근로자수, 가입채널, 공시의무, 위험 및 수익률, 투자최소금액, 투자주체, 분산투자)
현재 공모펀드의 규모(순자산)이 사모펀드의 규모보다는 더 큽니다. 수익률의 경우 공모보다는 2배이상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시중의 자금이 더더욱 몰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사모펀드의 경우 일정금액이상의 전문투자자나 거액투자자만이 투자를 합니다. 따라서 자금여력이 부족한 일반인은 투자를 할 수가 없습니다.
현재와 같이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는 이상 공모펀드보다는 사모펀드에 자금이 몰릴 수 밖에 없습니다. 사모펀드의 경우 수익률이 높은 반면 각종 정부의 규제(투자설명서 제공, 분기별 운영보고서, 공시)를 받지 않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은 단점도 있습니다.
▶관련 TIP : 주식투자 기법, 국내 주식형펀드 수익률은?(바로가기)
▶관련 TIP : 보험과 투자병행, 변액보험투자의 모든것(바로가기)
공모, 사모펀드 월 평균 순자산 변동현황(제로인 제공)
연초이후 펀드 유형별 수익률(주식형, 채권형, 부동산형, 주식혼합형, 해외주식, 채권, 부동산형)
| 구분 | 공모펀드 | 사모펀드 | 
| 근로자수 | 50인이상 | 50인미만 | 
| 투자모집규모 | 대규모(공개) | 소규모(비공개) | 
| 종류 | 거치식,적립식펀드 | 사모헤지펀드 | 
| 가입채널 | 증권사영업점, 홈페이지 | 증권사의 PB점 | 
| 상품홍보 | 상품홍보 가능 | 상품홍보 불가 | 
| 투자설명서등 | 투자설명서, 집합투자규약 | 집합투자규약 | 
| 운용보고서, 공시 | 의무(분기별 1회이상) | 비의무 | 
| 투자자산, 종목수 | 제한 | 비제한 | 
| 위험 | 중수익, 저위험 | 고수익,고위험 | 
| 원금보장 | 비보장 | 비보장 | 
| 투자최소금액 | 비제한 | 제한 | 
| 투자주체 | 기관투자자, 일반투자자 등 | 기관투자자, 전문투자자, 거액투자자, 일반투자자 | 
| 최소투자금액 | 제한없음 | 1억원 또는 3억원 | 
| 분산투자 | 적용 | 비규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