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직, 계약직, 일반직공무원 연복리 3.42%, 저 소득세율 부과 가입구좌별 퇴직급여금 및 각종 부조금(경찰공제회)
제가 다니고 있는 봉사단체에 경찰공무원과 간호사가 있습니다. 매주 모여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데 잘 빠지시는 분들이 두 분야에 근무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야간근무때문입니다. 야간 근무는 신체리듬이 깨지기 때문에 신체, 정신적으로도 상당히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년보장이라는 메리트가 있고 어느직책에 올라가게 되면 야간근무를 하지 않고 주간으로 전환이 됩니다. 그 기간까지는 참고 견뎌야 합니다. 간호사의 경우 이직률이 많은데 그만큼 힘들기도 하고 이직 후에 재취업을 빨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희 회사도 보건관리자로 남자간호사가 있는데 요즘 지방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반에서 3등 이내에 들어야 국,사립 간호학과를 들어갈 수 있다고 했습니다. 그만큼 취업보장이 잘 되기 때문입니다.
경찰공제회 퇴직(해약)급여율
경찰공무원은 공무원연금과는 별도로 경찰공제회에 가입가능합니다. 상당히 큰 메리트가 있으며 하단과 같이 퇴직급여(납부한 금액에 복리이자를 더해서 주는 금액)를 지급받을 수가 있습니다. 가입단위로는 최대 매월 기준 40만원까지 가입가능합니다. 최대 30년을 가입시에 1억 4천 4백만원까지 가입가능합니다.
경찰공제회 퇴직(해약)급여율 | |
공제회대상 | ㉠경찰관서 근무 무기계약직, 고용직, 별정직, 일반직,기능직공무원 |
㉡경찰로 근무하고 있는 경찰공무원(제주특별시 포함) | |
㉢경찰공제회 임직원 | |
기본구좌 | 1구좌(5천원) |
가입단위 | 1구좌(5천원)~80구좌(40만원) |
이율 | 년복리 3.42% (세전, 변동금) |
소득세율 | ㉠99년 이전 가입회원(비과세) |
㉡99년 이후가입회원(0~2.4%) | |
퇴직급여금 | ㉠가입자격상실시(탈퇴, 사망, 명예, 정년퇴직, 면직, 파면 등) |
㉡교정공제회를 중도탈퇴시 | |
지급액 | 납입부가금 + 이자(복리) |
지급대상 | 본인 또는 상속인 |
지급일 | 신청 후 1주일 이내 |
청구시효 | 5년(이 기간 미청구시에 퇴직급여금을 지급받을 수 없음) |
문의 | 경찰공제회(☎ 1577-0112) |
경찰공제회 급여금 및 부조금(퇴직,해약,특별순직급여 등)
구분 |
경찰공제회 급여금 및 부조금 |
||||
㉠퇴직,해약급여 |
납입금액+연복리이자(3.42) |
||||
㉢특별순직급여 |
구분/가입구좌수 |
1~10구좌 |
11~20구좌 |
21~30구좌 |
31구좌이상 |
순직급여금 |
700,000원 |
1,000,000원 |
1,500,000원 |
2,000,000원 |
|
사망급여금 |
500,000원 |
700,000원 |
1,000,000원 |
1,500,000원 |
|
2,000만원(범인검거, 인명구조, 교통단속,지도,시위진압중 사망) |
|
|
|
|
|
㉣공상요양부조금 |
구분/요양기간 |
2~7주 미만 |
7~12주 미만 |
12주 이상 |
공상퇴직 |
지급금액 |
200,000원 |
300,000원 |
500,000원 |
1,000,000원 |
|
㉤결혼출산부조금 |
50,000원 |
||||
㉥법률구조지원금 |
1,000만원한도(소송제기, 손해배상청구 등 법률소송비용) |
구좌별 가입기간별 납부원금 대비 환급금
예를 들어 20년간 80구좌를 납부했을 경우 납입원금은 9,600만원입니다. 여기에 이자가 무려 4,120만원이 더해집니다. 총 수급할 수 있는 금액은 1억3천7백2십만원입니다. 이자비율이 거의 45%에 달합니니다. 이처럼 금리가 높아지는 이유는 복리기준으로 지급을 받기 때문입니다.
중도에 공제회 탈퇴시에 급여금 지급율
중도에 탈퇴하거나 해약시에는 부가금을 가입기간에 따라서 일정비율을 하단과 같이 수급합니다. 20년 이상 납부시에는 중간에 해약이나 탈퇴하더라도 100% 지급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