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환방식에 따른(만기일시, 원리금분할) p2p투자시 신용대출투자, 부동산담보(PF)투자와 예금, 적금과의 연계성
만기일시상환방식과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 수익률 비교
p2p투자에 있어서 부동산투자의 경우 만기일시상환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신용대출상품투자에 있어서는 원리금균등분할상환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어느경우가 실제로 투자한 금액대비 수익률이 높을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금과 적금의 수익률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적금과 예금의 수익률 비교
[예금 : 120만원 한꺼번에 1년 예치, 적금 : 매월 10만원씩 1년간 총 120만원 적금시]
아래의 2개의 표는 금융감독원 [파인]예서 예금과 적금 이자를 검색한 표입니다. 아래에서 [광주은행의 솔쏠한 마이쿨적금]과 [제주은행의 사이버우대정기예금] 의 경우 세후이자율이 1.78%입니다. 두개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세우이자율에 있어서 광주은행의 적금은 11,548원이고 제주은행은 21,319원입니다. 거의 2배정도 차이가 납니다. 그 이유는 이전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관련글보러가기)
따라서 표면상 금리가 높다고 적금에 투자할 생각을 하지 않고 예금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만 적금의 장점은 매월 일정금액을 납부하기 때문에 부담이 없습니다. 예금의 경우 성과급을 받았거나 보너스를 받은 경우에 이를 분할납부(적금)하지 않고 1년만기 등 예금을 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은행별 적금금리 비교표>
금융회사 |
상품명 |
세전 |
세후 |
세후 |
우리은행 |
우리스마트폰적금 |
2.20% |
1.86% |
12,098 |
광주은행 |
쏠쏠한마이쿨적금 |
2.10% |
1.78% |
11,548 |
경남은행 |
행복드림적금 |
1.90% |
1.61% |
10,448 |
대구은행 |
내손안에 적금 |
1.81% |
1.53% |
9,953 |
부산은행 |
2030부산등록엑스포적금 |
1.80% |
1.52% |
9,898 |
광주은행 |
KJB주거래적금2 |
1.70% |
1.44% |
9,348 |
<은행별 예금금리 비교표>
금융회사 |
상품명 |
세전 |
세후 |
세후 |
케이뱅크은행 |
코드K 정기예금 |
2.25% |
1.90% |
22,842 |
제주은행 |
사이버우대정기예금 |
2.10% |
1.78% |
21,319 |
한국산업은행 |
KDB Hi 정기예금 |
2.05% |
1.73% |
20,812 |
부산은행 |
MY SUM정기예금 |
2.00% |
1.69% |
20,304 |
농협은행 |
NH왈츠회전예금 II |
1.95% |
1.65% |
19,796 |
한국산업은행 |
KDBdream 정기예금 |
1.90% |
1.61% |
19,289 |
신한은행 |
신한 S드림 정기예금 |
1.84% |
1.56% |
18,679 |
경남은행 |
e-Money정기예금 |
1.80% |
1.52% |
18,274 |
p2p투자에 있어서 예금과 적금이란?
아래는 p2p투자에 있어서 실제로 우리가 받는 이자를 원금에 비교했을 때 받는 금액을 예금과 적금에 비해서 비교를 해 보았습니다. p2p투자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하며, 담보대출로 만기일시상환방식과 신용대출로 원리금분할상환방식입니다. 둘다 공통점은 이자를 매월 지급을 받는데 있습니다.
p2p투자에 있어서 만기일시상환방식은 위의 표에서 살펴본데로 예금과 비슷합니다. 원리금분할상환방식의 경우 적금과 비슷합니다. 즉, 2개의 상품이 있을 경우 동일한 수익률인 경우에는 만기일시상환방식이 수익률이 더 높다할 수 있습니다. 개인,사업자신용대출상품을 취급하는 곳 중 하나는 렌딧p2p사이며, 부동산담보대출을 취급하는 곳중 하나는 투게더펀딩, 이디움펀딩사입니다.
P2P투자 방식 비교 |
||
구분 |
만기일시상환방식 |
원리금분할상환방식 |
행태비교 |
예금 |
적금 |
주요취급 |
부동산담보대출, 부동산PF |
개인신용대출 |
원금지급 |
만기일시 지급 |
매월 균등분할지급 |
이자지급 |
매월지급 |
매월지급 |
이자지급방식 |
매월 동일함 |
매월 줄어듬 |
이자총액 |
많음(장점) |
적음(단점) |
재투자 |
불가능(단점) |
가능(장점) |
자금회수 |
다소 안정적 |
안정적 |